1호 열대저압부 24시간 내 태풍 발
페이지 정보

본문
1호 열대저압부 24시간 내 태풍 발달 전망중국 내륙서 소멸…국내 간접 영향 가능성서울 시내 출근길 모습. 사진=한국경제신문올여름 첫 열대저압부가 필리핀 마닐라 서쪽 해상에서 발생했다. 해당 열대저압부는 24시간 안에 태풍으로 발달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확인됐다.기상청은 10일 오전 필리핀 마닐라 서쪽 610㎞ 해상에서 올여름 제1호 열대저압부가 발생했다고 발표했다. 이 열대저압부는 24시간 내 태풍으로 발달해 오는 11일 밤이나 12일 새벽에 올여름 첫 북서태평양 제1호 태풍이 될 가능성이 크다. 태풍이 되면 이름은 '우딥'이 된다. 우딥은 마카오가 제출한 이름으로 나비를 뜻하는 광둥어 단어다.우리나라는 중심 최대풍속이 17㎧ 이상인 열대저압부를 태풍으로 분류한다. 1호 열대저압부는 태풍이 된 뒤 중국 광둥성 남서부 쪽으로 상륙할 전망이다. 이후 14∼15일 중국 내륙에서 소멸할 가능성이 크다.이 과정에서 한국은 태풍의 간접 영향을 받을 수 있다. 태풍이 소멸하는 시기에 북태평양고기압 가장자리가 제주 부근까지 확장할 것으로 전망되어서다. 이 경우 태풍이 소멸하며 풀어놓은 수증기가 북태평양고기압 가장자리를 타고 국내로 유입되면서 많은 비가 내릴 수 있다.기상청은 이날 오전 6시 발표한 중기예보에서 14일 전국에 비가 내릴 것으로 예상하면서 "북태평양고기압 가장자리와 우리나라 주변 기압계 변화에 따라 비가 내리는 시점과 지역이 달라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14일 비를 기점으로 올여름 장마가 시작할지는 미지수다. 현재 중기예보상 14일 이후 20일까지 비 예보는 없다.비가 내린 뒤 북서쪽에서 저기압이 다가와 북태평양고기압이 수축할 가능성도 있어 기상청은 장마 시작 선언 여부를 고심 중이다. 장마는 여름철 '우기'의 시작으로 동아시아 몬순(monsoon) 시스템 일부다. 몬순은 '계절에 따라 강수량이 적거나 많은 현상 또는 시기'를 일컫는 용어다.1호 열대저압부 24시간 내 태풍 발달 전망중국 내륙서 소멸…국내 간접 영향 가능성서울 시내 출근길 모습. 사진=한국경제신문올여름 첫 열대저압부가 필리핀 마닐라 서쪽 해상에서 발생했다. 해당 열대저압부는 24시간 안에 태풍으로 발달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확인됐다.기상청은 10일 오전 필리핀 마닐라 서쪽 610㎞ 해상에서 올여름 제1호 열대저압부가 발생했다고 발표했다. 이 열대저압부는 24시간 내 태풍으로 발달해 오는 11일 밤이나 12일 새벽에 올여름 첫 북서태평양 제1호 태풍이 될 가능성이 크다. 태풍이 되면 이름은 '우딥'이 된다. 우딥은 마카오가 제출한 이름으로 나비를 뜻하는 광둥어 단어다.우리나라는 중심 최대풍속이 17㎧ 이상인 열대저압부를 태풍으로 분류한다. 1호 열대저압부는 태풍이 된 뒤 중국 광둥성 남서부 쪽으로 상륙할 전망이다. 이후 14∼15일 중국 내륙에서 소멸할 가능성이 크다.이 과정에서 한국은 태풍의 간접 영향을 받을 수 있다. 태풍이 소멸하는 시기에 북태평양고기압 가장자리가 제주 부근까지 확장할 것으로 전망되어서다. 이 경우 태풍이 소멸하며 풀어놓은 수증기가 북태평양고기압 가장자리를 타고 국내로 유입되면서 많은 비가 내릴 수 있다.기상청은 이날 오전 6시 발표한 중기예보에서 14일 전국에 비가 내릴 것으로 예상하면서 "북태평양고기압 가장자리와 우리나라 주변 기압계 변화에 따라 비가 내리는 시점과 지역이 달라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14일 비를 기점으로 올여름 장마가 시작할지는 미지수다. 현재 중기예보상 14일 이후 20일까지 비 예보는 없다.비가 내린 뒤 북서쪽에서 저기압이 다가와 북태평양고기압이 수축할 가능성도 있어 기상청은 장마 시작 선언 여부를 고심 중이다. 장마는 여름철 '우기'의 시작으로 동아시아 몬순(monsoon) 시스템 일부다. 몬순은 '계절에 따라 강수량이 적거나 많은 현상 또는 시기'를 일컫는 용어다.
- 이전글킹즈쥬스 산업용 AI를 지원하는 GPU 업체 로그 자체 25.06.10
- 다음글TELE@knem9 안락사약물 안락사약물바르비탈 25.06.1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