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시간을 알고 싶다면 제가 손가락
페이지 정보

본문
“현재 시간을 알고 싶다면 제가 손가락을 대고 있는 버튼을 한 번 눌러보시겠어요?”11일 서울 종로구 실로암 시청각장애인 학습지원센터. 시청각장애인 조현상 씨(33)가 같은 장애가 있는 김모 씨에게 보조기기 ‘한소네’ 사용법을 설명했다.김 씨가 버튼을 몇 번 누르자 “오후 2시 46분 15초입니다”라는 음성이 흘러나왔다. “잘하셨어요.” 조 씨가 박수를 쳤고 김 씨의 얼굴에도 미소가 번졌다. 조 씨는 이곳에서 특별한 직원이다. 시각과 청각 장애가 있는 시청각장애인이면서 같은 장애인에게 보조기기 사용법 등을 알려주는 강사다. 시청각 장애는 장애 정도에 따라 저시력 난청, 전맹(全盲) 난청, 저시력 전농(全聾), 전맹 전농으로 구분된다. 조 씨는 앞을 전혀 볼 수 없고 조용한 공간에서 큰 소리만 들을 수 있어 ‘전맹 난청’에 해당한다. 11일 서울 종로구 실로암 시청각장애인 학습지원센터에서 시청각장애인 조현상 씨가 같은 장애가 있는 김모 씨에게 보조기기 사용법을 설명하고 있다. 송은석 기자 silverstone@donga.com ● “강사 일 하며 나도 사회의 구성원임을 느껴”조 씨는 고2 때 망막질환 진단을 받은 뒤 시력을 잃었다. 20대 후반부터는 원인을 알 수 없는 이유로 난청이 진행됐다. 시각과 청력을 모두 잃고 그는 세상과 단절된 듯한 고립감을 느꼈다. “가족이나 친구들과 같은 공간에 있어도 대화 내용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할 때가 많았어요. 몸은 함께 있어도 마음은 혼자 있는 것만 같았습니다.”하지만 2021년부터 센터 강사를 하면서 삶이 바뀌기 시작했다. 다른 장애인에게 보조기기 사용법을 알려줬고 그들이 세상과 소통하고 타인과 어울리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변화된 모습을 보는 건 조 씨의 기쁨이자 보람이다. 조 씨는 “이 일을 하면서 사회 속에서 ‘내 역할’이 뚜렷해진다고 느낀다”며 “나 역시 사회 구성원이라는 걸 실감하게 됐다”고 말했다.최근에는 가족 곁을 떠나 독립했다. 걱정이 많았지만, 막상 혼자 살아보니 스스로 할 사진=클립아트코리아 만성 비만 기간이 길수록 뇌 노화가 가속화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홍콩 이공대 연구팀은 영국 바이오뱅크에 등록된 40세 이상 성인 50만명을 대상으로 비만과 뇌 노화의 연관성을 알아봤다. 연구팀은 참가자들을 비만 측정 결과에 따라 ‘낮은 정도의 비만 유지’, ‘중간 정도의 비만 유지’, ‘높은 정도의 비만 유지’, ‘체중 증가’, ‘체중 감소’ 등 다섯 가지 뚜렷한 비만 유형을 식별했다. 그 후, 이러한 비만 유형이 중년 및 노년 성인의 뇌 형태, 기능 및 인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했다.연구 결과, 체중 감소 그룹은 뇌와 인지 기능 저하가 미미한 반면 높은 정도의 비만 유지 그룹과 체중 증가 그룹은 광범위한 뇌 손상과 관련이 있었다. 체중 증가, 중간 정도의 비만 유지, 높은 정도의 비만 유지 그룹은 뇌 구조, 기능적 연결성, 인지 능력의 점진적인 손상을 보였다. 체중 증가 그룹은 전두엽-중뇌변연계 영역에서 뇌 이상이 시작됐고, 중간 정도의 비만 유지 그룹에서는 뇌 이상이 두정엽과 측두엽 영역으로 확장됐다. 체내 지방이 쌓이면 노화의 주범인 산화스트레스와 염증 물질이 생성돼 뇌 노화가 가속화된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연구 저자 안치 치우 교수는 “이 연구는 장기적인 체중 조절이 뇌 건강 증진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며 “뇌 노화는 물론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등과 같은 치료법이 없는 질환을 예방하기 위해서라도 체중을 조절해야 한다”고 말했다.한편, 뇌 노화는 곧 기억력과 인지기능 저하, 알츠하이머 치매 등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평소 관리하는 게 중요하다. 뇌 노화를 예방하고 뇌 건강을 지키기 위해서는 균형 잡힌 식사와 규칙적인 운동을 유지해야 한다.이 연구는 ‘자연 정신 건강(Nature Mental Health)’에 최근 게재됐다.
- 이전글비닉스와 센트립, 온라인에서 안전하게 구매하는 방법 25.04.15
- 다음글텔레@WINSEOWI 대출광고 일수광고 25.04.15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