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산신도시부동산
[앵커]지구 온도가 오르면 잦아지는 또 하나의 재앙, 바로 '산불'이죠?지난달 국내에서도 동시다발 산불이 일어나 국토의 많은 면적을 잃었는데요.이런 일에 대비하기 위해 산불 진화 헬기를 운용하고 있지만 부품 수급에 어려움이 있다고 합니다.정재훈 기자가 알아봤습니다.[리포트]열흘 동안 이어졌던 영남 지역 초대형 산불, 전국에서 동원된 산불 진화 헬기 120여 대 가운데 4분의 1인 32대는 '카모프'라고 불리는 러시아산 중형 헬기였습니다.한 번에 3천 리터 이상의 물을 담을 수 있어, 5백에서 최대 천 리터인 소형 헬기보다 산불 진화에 핵심 역할을 맡았습니다.이 민간 헬기 업체도 이번 산불에 카모프 헬기 2대를 지원했습니다.그런데 고장이 날 경우 더 이상 지원이 어렵습니다.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 여파로 러시아에서 헬기 부품 도입이 어려워 수급난을 겪고 있기 때문입니다.[윤덕환/헬기업체 이사 : "터키, 두바이 또는 중국을 통해 우회해서 부품을 수급하고 있어요. 부품 가격이 그것만큼 상회해서 올라가는 부담이 있기 때문에…."]산림청도 상황은 마찬가집니다.산림청이 보유한 중대형 헬기 39대 중 29대가 카모프 기종입니다.이 가운데 8대는 부품이 없어 운항이 불가능해지자, 아예 다른 헬기에 필요한 부품을 공급하는 용도로 전락했습니다.[김만주/산림청 산림항공본부장 : "8대가 다 정상적으로 운영됐다라고 하면 산불 대응하는 데 있어서 조금 더 어떻게 보면 수월, 어떻게 보면 좀 더 나았겠죠."]문제는 앞으롭니다.건조한 날씨 탓에 다음달 중순까지는 산불 위험이 계속 높을 것으로 전망되는 상황.부품 수급에 발목이 잡힌 중대형 헬기 운용이 어려워지면 산불 대응도 그만큼 고전을 피하기 어렵습니다.KBS 뉴스 정재훈입니다. 촬영기자:강수헌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카카오 '마이뷰',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정재훈 기자 (jjh119@kbs.co.kr)매년 4월 1일은 ‘멸종위기종의 날’이다. 1987년 환경부가 처음으로 ‘멸종위기 야생생물’을 지정한 날을 기념하기 위해 2021년부터 시작했으며, 올해로 다섯 번째 생일을 맞았다. 이날은 단지 과거의 노력을 되새기는 데 그치지 않고, 멸종위기종 복원으로 생물다양성 보전과 기후 위기 대응이라는 인류 공동의 과제를 다시금 상기시키는 의미 있는 날이다.전 세계적으로 생물다양성 감소는 기후변화와 함께 인류가 직면한 가장 심각한 환경 문제 중 하나다.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의 적색목록에 따르면 현재까지 평가된 생물종의 약 28%가 멸종위기에 처해 있고, 주요 원인으로는 기후변화, 서식지 파괴, 자원 남획, 환경 오염 등이 지목된다. 특히 기후변화는 생태계를 근본적으로 뒤흔드는 요인으로, 많은 생물이 더 이상 살아갈 수 없는 극한 환경에 내몰리고 있다. 2024년 사이먼 스티엘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사무총장은 인류가 기후변화 위기에 ‘지구를 구할’ 시간이 2년밖에 남지 않았다며 기후변화를 막기 위한 전 인류의 노력을 강조한 바 있다.생물 종의 멸종은 단지 한 종의 소멸로 끝나는 문제가 아니다. 생태계는 수많은 종이 상호작용을 하며 유지되는 복잡하게 짜인 그물망이다. 특정 종이 사라지면 그와 연결된 생태계 기능 전체가 영향을 받고, 결국 인간의 삶에도 위협이 된다. 따라서 멸종위기종 보전은 자연보호를 넘어 생태계의 회복력을 높이고 기후 위기 대응에도 기여하는 전략이다.국립생태원은 이러한 배경 아래 다양한 멸종위기종 복원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우리나라에서 1970년대 이후로 자취를 감췄던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소똥구리 복원 사업은 초지 생태계의 기능 회복과 토양 건강성 증진에 기여하며, 탄소 저장 능력까지 높이는 자연 기반 해법(Nature-based Solutions)의 사례다. 국립생태원은 2019년부터 몽골에서 소똥구리를 들여와 증식·복원 연구를 진행해 왔으며, 2023년 금강유역환경청, 태안군, 국립공원공단 및 지역 주민들과 함께 충남 태안 신두리 해안사구에 200마리를 방사한 바 있다.저어새 서식지의 보전과 복원도 중요한 과제다.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인 저어새는 전 세계 개체군의 90% 이상이 국내에서 번식하지만, 해안 개발과 오염, 서식지 감소로 인해 생존을 위협받고 있다. 국립생태원은 인천 강화도, 남동유수지 등 저어새 주요 번식지에
다산신도시부동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