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자주] 기후변화는 인류의 위기다. 이제 모
[편집자주] 기후변화는 인류의 위기다. 이제 모두의 '조별 과제'가 된 이 문제는, 때로 막막하고 자주 어렵다. 우리는 각자 무얼 할 수 있을까. 문화 속 기후·환경 이야기를 통해 기후변화에 대한 관심을 끌고, 나아갈 바를 함께 고민해 보고자 한다. 경상남도 하동군 옥종면 회신리 산2 일원에서 산불진화대원들이 진화 작업을 이어가고 있다. (산림청 제공. 재판매 및 DB금지) 2025.4.7/뉴스1 (서울=뉴스1) 황덕현 기후환경전문기자 = 재해는 반복되고, 해법은 늘 비슷하다. 봄철이 시작하자마자 영남권을 중심으로 대형 산불이 이어졌다. 정부수립 이후 최초로 국가유산 재난 경보가 발령되는 등 피해가 막심했다. 태풍급 강풍이 주된 원인으로 꼽히지만 겨우내 바싹 마른 대지와 나무가 땔감 역할을 했다. 적은 강수량이 또다시 기후 재난으로 연결됐다.유엔대학 환경 및 인간안보연구소(UNU-EHS)는 이런 반복되는 재난의 원인을 기술 부족이 아닌 '사회구조 그 자체'로 지목했다. 최근 공개한 '상호 연결 재해위험'을 통해 UNU-EHS는 기후·생태·오염 위기가 겹치는 현상이 단순히 자연재해가 아닌, 인간이 만든 시스템에 깊이 뿌리내린 결과라고 분석했다.지금까지의 대응이 폐기물 재활용, 기술적 보완 등 결과 처리에 집중돼 왔으며, 문제를 낳는 사회 시스템과 가치관은 그대로 유지됐다고 진단했다.보고서는 '딥체인지'(Deep Change) 필요성을 강조했다. 구조적 전환 없이 반복되는 위기를 막을 수 없다는 취지다. 플라스틱 폐기물과 산불, 생물종 멸종 등의 문제는 개별 사안이 아니라, 성장 중심의 경제체계와 '새것이 낫다'는 소비 관념, 인간이 자연을 통제 대상으로 여기는 인식이 뿌리가 됐다고 보는 것이다. 사회 문제를 나무 열매에 비유하며, 과일만 갈아치우면 안 되고 뿌리를 바꿔야 한다고 표현했다.전환이 시급한 분야로는 △폐기물 개념 재고 △인간-자연 관계 재조정 △책임 구조 재정의 △미래세대 고려 △가치관 재정립 등이 제시됐다. 예를 들어, 일본 도쿠시마현 가미카쓰는 고도의 분리배출과 지역 공동체 중심의 순환 시스템을 통해 재활용률을 80%까지 끌어올렸고, 미국 플로리다의 키시미강은 훼손됐던 생태계 복원 이후 홍수 완충 기능을 회복하며 자연 기반 해법의 가능성을 보여줬다.기후위기의 책임이 평등하지 않다는 점도 강조된다. 온실가스를 적게 배출하는 국가나 계층일수록 피 기획전 ‘오늘, 분청’ 포스터. 한국도자재단. 경기도자미술관 기획전 ‘오늘, 분청’ 전시 전경. 한국도자재단. ‘분청사기’의 아름다움을 현대적인 감각으로 재조명한 전시가 펼쳐진다. 한국도자재단은 8월17일까지 경기 이천시 관고동 경기도자미술관 제 2·3전시실에서 기획전 ‘오늘, 분청’을 개최한다. 분청사기는 ‘분장 회청 사기’의 준말로 회청색 사기에 백토로 분장한 도자기란 뜻이다. 맑고 투명한 비취색의 ‘고려청자’와 깨끗하고 단아한 백색의 ‘조선백자’ 사이의 독창적인 도자 양식이다. 조선 초기 약 200년간 제작됐으며 자유로운 형태와 대담한 기법, 서민적 정서와 해학적인 표현으로 ‘가장 한국적인 도자’라고 평가받는다. 이번 기획전엔 우리 시대 작가들이 한국 도자의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현대 시각에서 재해석한 분청 작품을 전시한다. 20대 신진 작가부터 70대 원로 작가까지 다양한 세대의 도예가 27명이 참여해 작품 100여점을 선보인다. 전시는 ▲1부 ‘분청의 속내’ ▲2부 ‘분청의 표정’ ▲3부 ‘분청의 몸짓’ ▲에필로그 ‘분청의 숲’으로 꾸려진다. 미술관 1층 로비에선 한국 현대 도예의 흐름을 형성한 원로 도예가 신상호의 ‘아프리카 시리즈–헤드’와 신진 작가 정용욱의 ‘흔적’이 함께 전시된다. 2층 로비에선 변승훈 작가의 대형 분청 설치 작업 ‘대들보를 올려라’(세로 3.8m, 가로 5.3m)가 공개된다. 이 작품은 2008년 화재로 훼손된 숭례문의 형상을 ‘無(무)’ 형태로 표현해 역사적 상처와 재건의 의미를 담아냈다. 이외에도 코로나19 시기에 수집된 잡지 등의 기사를 전사 기법으로 새겨 인간의 무분별한 개발과 환경 파괴 등의 문제의식을 조명하는 김대훈 작가의 ‘여섯번째 터널’, 독일 아우구스트 2세의 도자기 방을 작가의 도자에 대한 열정에 빗대어 표현한 김정우 작가의 ‘철화의 방’ 등 여러 작품을 통해 무궁무진한 분청의 세계를 만나볼 수 있다. 특히 2020년 작고한 영국 도예가 필 로저스(Phil Ro
[편집자주] 기후변화는 인류의 위기다. 이제 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