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스론카페트

직통라인 : 010-5028-4269

친절히 상담드리겠습니다.

▶이코노미 인사이트 구독하기http://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onion
댓글 0건 조회 57회 작성일 25-04-05 15:27

본문

▶이코노미 인사이트 구독하기http://www.economyinsight.co.kr/com/com-spk4.html인간이 삶을 영위하는 데 가장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 중국에선 ‘식의주’라고 한다. 영어 표현도 식의주(Food, Clothing and Shelter)다. 한국과 일본에선 이와 달리 ‘의식주’라고 한다. ‘의’가 ‘식’보다 더 중요하다는 의미일까?의식주란 단어는 19세기 후반 일본에서 만들어져 대한제국 시절 우리나라에서도 쓰이기 시작했다. ‘왔다 갔다’를 일본에서는 ‘잇타리 기타리’(行ったり来たり·갔다 왔다)라고 한다. 모음으로 시작하는 게 발음하기 편하다. 그래서 식의주가 아니라 의식주라고 했을 가능성이 있다. 중국 춘추시대 제나라 재상 관중은 “입을 것과 먹을 것이 넉넉해야 영예와 치욕을 안다(衣食足 則知榮辱)”고 했다. 여기에 나오는 ‘의식’에 ‘주’(住)를 붙여 새 말을 만들었을 수도 있다. 의식주라고 말은 하더라도 ‘의’보다는 ‘식’이 삶에 더 필수적이다.19세기 독일의 에른스트 엥겔(Ernst Engel, 1821~1896)은 작센 지역 통계국장으로 일할 때 벨기에 노동자들의 가계 지출을 조사하면서 ‘가계의 소득이 많을수록 가계 지출에서 식료품비의 비중이 감소한다’는 사실을 포착했다. 그 이유를 이해하기는 그리 어렵지 않다. 소득이 많든 적든 누구나 생존에 필요한 최소한의 식료품은 사야 한다. 소득이 증가할수록 여유자금이 늘어나면서 식료품 외 다른 분야에 소비가 늘어난다. 엥겔은 1857년 ‘벨기에 노동자 가족의 생활비’라는 제목의 논문으로 이를 발표했다. 엥겔의 법칙이다.가계소비서 식료품비 비중 의미가계 소비지출에서 식비가 차지하는 비율을 엥겔지수라고 한다. 가정에서 요리해 먹는 것 말고도 사먹는 일이 많은 오늘날에는 식료품비(비주류 음료 포함)에 외식비를 포함한 식비가 소비지출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엥겔지수로 보는 경우가 많다. 물론 식료품비만 계산하는 경우도 있다. 2020년 우리나라 가계의 소득계층별 엥겔지수(외식비 포함)를 보면, 소득 하위[슬기로운 미술여행 - 17] 베를린 신국립미술관서베를린의 마지막 미술관은 신국립미술관입니다. 건축물이 주는 감동이 큰 곳이기도 합니다. 베를린에는 지금까지 만난 미술관 외에도 다양한 현대미술을 위한 공간들이 많았습니다.이번에는 찾지 않았지만 통일의 상징적인 이미지가 벽화로 그려진 이스트 사이드 갤러리가 있죠. 발전소를 개조해 미디어 아트를 전시하는 크라프트베르크(Kraftwerk), 베를린 비엔날레의 전시 공간 중 한곳으로 쓰이는 KW 인스티튜트도 있습니다. 베를린 미술여행은 1주일의 시간도 부족하게 느껴졌습니다.미스 반 데 로에의 마지막 걸작, 신국립미술관 미스 반 데 로에의 걸작 신국립미술관. ©김슬기 신국립미술관은 베를린의 가장 유명한 건축물 중 하나입니다. 극단의 효율성을 추구하는 수직과 수평의 격자로 만들어진 이 모더니즘의 도시에 가장 잘 어울리는 미술관이기 때문입니다. 신국립미술관은 모더니즘 건축의 아버지로 불리는 건축가 루트비히 미스 반 데 로에(1886~1969)의 유작입니다. 세계 2차대전으로 미국으로 이민을 간 그가 조국 독일을 위해 설계한 최초의 건물이자, 마지막 건물인 셈입니다.1962년 서베를린에 20세기 미술 컬렉션을 전시할 새로운 박물관 건물을 설계하라는 의뢰를 받았습니다. 1965년 9월, 건축가는 초석을 놓기 위해 이 도시에 왔습니다. 2년 후, 그는 건설의 클라이막스인 거대한 강철 지붕을 유압식으로 들어 올리는 현장에도 참석했습니다.기둥이 없는 열린 공간을 만드는 것에 대한 그의 오랜 집착은 박물관의 유리 홀 디자인에서 절정에 달했습니다. 1층을 로비와 열린 공간으로만 채운 과감함과 내부에서 유리와 철제가 만드는 기하학적인 패턴을 보면, 혀를 내두르게 됩니다. 그가 남긴 격언처럼 가장 단순한 것이 가장 아름다운 법(Less is more)입니다.건축가는 건물 개관 직후 사망했습니다. 검은 강철 지붕의 우아하고 소박한 미술관 하나를 남기고서 말이죠. 박물관은 당시 서베를린의 가장자리에 위치해 있었습니다. 지금의 확장된 문화 포럼은 동베를린과 서베를린을 가르는 경계 위에 세워진 셈입니다. 모더니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